플러터에서 폰트를 추가할 때는 ttf, otf 형식의 파일을 사용한다.
1. 폰트 파일 추가
프로젝트 최상위 경로에 fonts폴더를 만들어 준비한 폰트 파일을 넣어준다.
2. pubspec.yaml에서 폰트 선언
pubspec.yaml에서
fonts:
라인을 찾아 주석 처리를 해제, 하단에 폰트 패밀리와 패밀리 내의 폰트를 선언한다.
weight는 일반적으로 폰트의 굵기를 말한다.
일반적인 굵기(normal)의 폰트는 400, 굵은(bold) 폰트는 700의 weight 값을 가진다.
3. Theme에 폰트 적용하고 사용하기
MaterialApp 내부에서 theme를 선언하고 사용할 fontFamliy를 지정한다.
fontWeight 설정 전과 후
여기서,
다양한 굵기의 폰트가 준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물론 fontfamily 사용이 가능하다.
하나의 폰트만 사용하는 예시
폰트 선언
pubspec.yaml파일에서 똑같이 작성해주되, 보통 굵기의 폰트 하나만 넣었다.
이 경우에도 기존 방식(Theme에서 사용할 폰트패밀리 선언)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fontWeight 설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앞선 예시파일과 동일한 코드를 사용했으나, 폰트웨이트가 적용되지 않는다.
대신, 가장 비슷한 대체 폰트 - NotoSansKR-Regular - 을 자동으로 대신 사용한다.
위의 예시코드처럼 100부터 900까지 다양한 폰트웨이트를 선언하지는 않더라도, 보통 normal(w400), bold(w700) 두 가지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전역 변수 사용으로 중복 코드 줄이기 (0) | 2025.04.01 |
---|---|
[Flutter] List.generate로 반복되는 출력 처리하기 (1) | 2025.03.31 |
[Flutter] Container 테두리 그리기 (0) | 2025.03.28 |
[Flutter] AppBar 주요 요소 (0) | 2025.03.28 |
[Flutter] 간단한 쇼핑몰 UI - Stateless widget 배치 (0) | 2025.03.25 |